티스토리 뷰

반응형

아무리 운동을 해도 살이 잘 빠지지 않을 수 있다. 근육량이 늘어서 몸무게가 늘어나거나 유지되는 것이 아니라 정말로 체지방량이 빠지지 않을 수 있다. 이럴 때 정말 다이어트에 대한 의욕이 사라지고 결국 다이어트를 포기하게 되는 것을 반복하게 된다. 왜 운동을 해도 살이 잘 빠지지 않을까. 오늘은 다이어트에서 가장 중요한 것인 호르몬 작용에 대한 저항성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호르몬 저항성
호르몬 저항성

호르몬 작용에 대한 저항성

살이 찌게 되는 원인은 우리 몸에서 생성되는 호르몬의 작용에 대한 저항성이 크게 작용한다. 바로 인슐린과 렙틴으로 알려진 호르몬에 대한 저항성이 살이 찌는 것에 관여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인슐린과 렙틴은 어떻게 살이 찌도록 작용하는 것일까.

1. 인슐린 저항성

인슐린은 췌장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우리가 식사를 할 때 분비된다. 음식을 섭취하여 우리 몸의 혈당이 올라가게 되면 인슐린 호르몬의 분비가 일어난다. 인슐린은 음식 섭취로 인해 많아진 혈당을 세포막을 열어서 세포에 흡수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우리 몸의 모든 세포는 인슐린을 통하여 혈당을 흡수하게 된다. 그런데 인슐린은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하여 제대로 세포막을 여는 역할을 못하게 된다. 이는 주로 운동 부족, 비만, 복부비만 그리고 유전적인 요인 등이 원인이다. 이런 요인들로 인하여 인슐린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하면 췌장에서는 인슐린이 부족하여 혈당을 흡수하지 못한다고 생각하고 인슐린을 더 만들어 내게 된다. 이렇게 인슐린이 많이 분비되어도 혈당이 세포에 제대로 흡수되지 못하는 상태를 인슐린 저항성이라고 한다. 이런 인슐린 저항성 상태가 지속되게 되면 혈액 속의 인슐린이 혈당을 지방조직으로 가져가 지방으로 전환시킨다. 이것은 지방조직을 발달시키고 비만을 불러오며, 비만으로 인해 또 인슐린 저항성이 약해져서 더욱 살이 찌게 되는 악순환으로 이어진다. 또한 이 과정에서 췌장의 인슐린 분비 기능이 감퇴되면 당뇨병에 걸릴 확률이 높아진다.

호르몬 저항성
호르몬 저항성

2. 렙틴 저항성

렙틴은 지방조직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이다. 렙틴은 식이요법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호르몬으로 뇌의 식욕을 담당하는 중추에 작용하여 식욕을 억제하고 포만감을 느끼게 해준다. 음식을 섭취하게 되면 지방조직에서는 에너지를 저장하면서 렙틴 호르몬을 분비한다. 많은 에너지가 지방조직에 들어오게 될수록 더 많은 양의 렙틴이 분비되어 식욕중추를 억제하는데, 비만인 사람은 지방조직이 많이 렙틴의 분비 자체가 만성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그렇게 되면 시상하부에 있는 렙틴을 수용하는 렙틴 수용체가 렙틴에 저항성이 생겨서 렙틴을 잘 받아들이지 못하게 된다. 그래서 지방조직은 렙틴 분비가 부족하여 시상하부가 렙틴을 수용하지 못한다고 판단하고 더 많은 렙틴을 분비하는데, 이를 렙틴 저항성이라고 한다. 그래서 렙틴 저항성이 생기면 많이 먹어도 포만감을 느끼지 못하고 식욕 억제가 되지 못하게 된다. 그래서 과도한 음식 섭취가 잦아질수록 식욕 억제가 되지 못하는 것이다.

 

 

3. 다이어트에서 가장 중요한 것

인슐린과 렙틴 호르몬의 저항성이 생기는 과정과 결과에서 보았듯이 두 호르몬의 저항성을 낮추는 것은 다이어트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다. 만약 인슐린과 렙틴 호르몬 저항성이 높은 상태라면 단기간에 많은 운동을 하더라도 잠시일뿐 다시 원래의 몸무게로 돌아가게 된다. 그래서 호르몬 저항성의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근본적으로 살이 찌는 원인을 없애지 못한다. 인슐린과 렙틴 호르몬 저항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최소 6개월간은 빠듯한 식단관리와 운동이 필요하다. 단기적으로 운동의 효과를 보려고 기대하지 말고 장기적인 운동을 해야 한다. 또한 당류가 많이 들어간 음식 섭취를 피하고 야식과 과식을 하는 습관을 버리도록 노력해야 한다. 

반응형